구형의 배터리용량이 2000~2200mAh으로 애매한 표기를 한 반면 신형은 2200mAh으로만 적혀 있습니다.
배터리 제조국가 표기 또한 구형은 '대한민국'이라고만 표기하였고 신형은 '삼성'이라는 괄호 안의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2200이라는 모델명 때문에 구형의 배터리용량이 2200mAh일 것 같지만 결국 2000mAh이라는 것입니다.
(홈페이지 및 신형 사용설명서에 2000mAh으로 표기하였네요.)
배터리 제조와 관련해 '삼성'이라는 내용이 추가된 것으로 보아
이전에 구형을 제조할 때는 삼성제품을 쓰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것.
뭐 어떻게 만들었건 사용자가 별다른 불편없이 쓸 수 있으면 되는 거죠.
아이폰 충전을 위한 USB케이블을 꼽는 자리입니다.
(USB 방식이라면 다른 제품도 충전할 수 있다고 합니다.)
고리가 달려있어 휴대하기에 도움이 됩니다.
제품(보조배터리)충전을 위한 24핀 케이블을 위한 자리입니다.
24핀 케이블은, 쉽게 말해 우리가 보통 휴대전화나 그 배터리를 충전할 때 쓰는 충전기입니다.
제품을 충전하는 모습입니다.
빨간 불이 녹색 불로 바뀌면 충전완료.
충전시간은 3~5시간 이라고 합니다.
약 1,000회 충방전을 할 수 있다고 하니 하루에 한번 충전한다 치면 3년 가까이 쓸 수 있는 거네요.
나중에 직접 충전해보고 자세한 글 올리겠습니다.
아이폰에 연결해 충전하는 모습입니다.
아이폰을 사실 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케이블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아이폰 상단 오른쪽에 충전표시가 보이시나요?
아이폰의 배터리용량이 1400mAh정도라고 하는데요,
KL-2200A의 배터리용량이 2200mAh라고 해서 1회 반 정도 충전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구형의 경우, 전압차이로 인한 손실로 약 1회 충전을 할 수 있었는데
신형은 그것보다 좀 더 낫겠죠?(최소한 200mAh라도 더)
- 실 사용 후 내용 덧붙이겠습니다. -
후레쉬 기능입니다. 짜잔!
어두운 방안에서 물건을 찾을 때 쓰면 좋겠네요!
마무리 하겠습니다.
장점 :
1. 비교적 저렴한 가격.
2만원대 정도니까 큰 부담은 없으실 듯.
2. 작은 크기.
일회용 라이터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
단점 :
1. 충전할 때 케이블 필요.
이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케이블도 같이 갖고 다녀야 합니다.
(선이 짧은 미니케이블이 있으면 괜찮을 듯 하네요.)
2. 애플 인증제품이 아니라는 점(?).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으니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3. 남아있는 배터리 용량 체크가 조금 어렵다는 점.
30%이하로 남았을 때부터 체크가 가능합니다.
아이폰 배터리는 있어야겠는데
케이스형식은 부담스럽고
크기는 작았으면 좋겠고
거기에 가격도 저렴하면 좋겠고.
음 전압이 신형이랑 구형 이랑 같은대요?
그리고 구형도 1회 반정 도 된다고 리뷰를 본듯
전압은 같은데 용량이 200mAh 차이 납니다. 수치상으로는 1회 반정도인데, 깜냥의 출력이 3.7V이고 아이폰 입력은 5V라서 승압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출력 5v 라고 되있는데요. 손실이 일어날까요? 에니차지는 멀리갈때. 이건 가까이나 1박정도 집과 떨어져있을때 상당히 메리트 있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